전체 글(110)
-
사회복지개론-사회적 위험의 개관
1. 사회적 위험의 의의 1)사회적 위험(Social risk)의 개념 (1)이론적인 사회적 위험 사회 구성원 전체에게 일반적, 보편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사건으로서,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위협하는 현상을 의미한다. 헌법 제34조 1.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진다. (2) 사회복지 법령상 사회적 위험 사회보장 기본법상 사회적 위험: 출산, 양육, 실업, 노령, 장애, 빈곤, 질병, 사망 (3)영국 베버리지(Beveridge) 보고서: 1942년 베버리지 5대 사회악(惡)은 빈곤, 질병, 무지, 불결, 나태 (4)국제노동기구(ILO)의 9가지 사회적 위험 : 사회보장 기본법과 유사항, 의료보험, 상병급여, 실업급여, 업무상 재해급여, 가족급여, 모성급여, 장해급여, 유족급여(제..
2020.10.19 -
가을에 핀 벚꽃, 일본 벚꽃 놀이
2020년 가을, 때아닌 벚꽃이 여기저기 피어서 뉴스 기사가 됐다. 9월 말부터 10월 초에 걸쳐서 대전, 거제, 울릉도 등지에서 봄에 피는 꽃인 벚꽃과 목련이 피었다. 2020년 올해는 6월부터 9월까지 약 3개월간 장마가 계속되었다. 큰비뿐만 아니라 거센 바람도 동반한 장마였다. 그리고 장마가 끝나자마자 태풍이 몰려오면서 벚나무를 비롯한 많은 나무에서 잎이 떨어졌다. 이 때문에 나무의 생체 균형이 착각해서 겨울이라고 착각했다가 날씨가 따뜻해지자 봄이라고 여기고 꽃을 피웠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. 여기는 서울이라 그 벚꽃들을 볼 수 없었지만, 사진으로나마 벚꽃을 보며 코로나 19의 답답함을 달랬다. 그리고 이김에 일본의 벚꽃놀이에 대해 글을 써본다. 일본 사람들은 벼농사가 시작하는 시기와 맞물려 피는 ..
2020.10.09 -
빨개진 컵라면 용기, 햇빛으로 하얗게 할 수 있다
얼마전에 인터넷에서, 고추가루 국물이 잔뜩 뭍은 컵라면 용기가 하얗게 되는 방법을 발견했다. 우와 이렇게 하면 컵라면 용기의 재활용 바율을 올릴 수 있지 않을까, 기발하다, 정말 되는지 실험을 해 보았다. 평범한 컵라면이다. 맛있게 먹었다. 국물을 버리고 아무 것도 하지 않은 용기이다. 국물의 얼룩이 심하게 뭍어 있다. 이 상태에서 세제를 넣고 세척을 한다고 해도 빨간 얼룩은 지워지지 않는다.그래서 컵라면 용기를 분래 수거할 때, 재활용 상자에 넣지 못하고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했다. 얼룩이 뭍은 일회용품은 재활용이 안 되기 때문이다. 이제 얼룩을 제거해 보자. 방법은 간단하다. 햇빛에 쪼이면 된다. 햇빛을 최대한 많이 받을 수 있게 했다. 결과는... 와...약 3-4일 햇빝을 받도록 창문 가에 두었다...
2020.10.07 -
염자 키우기, 잘 자라지 않을 때는 과감히 잘라본다
지인에게 몇 년전에 얻어온 염자 가지. 다육이과이기 때문에 물을 주는 것도 많이 신경쓰지 않아도 되고 벌레가 자주 발생하지 않기도 해서 그냥 방치한 채 키우고 있었다. 가지를 잘라 번식시키는 것도 한 두번 해 보았으나 성장하는 것이 눈에 별로 띄지는 않았다. 그러던 중, 이번 가을에는 도저히 그냥 넘어갈 수 없어서 며칠 전에 붉은 동그라미 부분을 과감히 잘라 번식을 실행했다. 그랬더니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새 잎파리가 하루가 다르게 빨리 올라오는 것이었다. 몇 년 키운 것보다 요 며칠 새 잎이 올라오는 속도가 10배, 100배는 빠른듯 하다. 비료 잘 주고 햇빛 잘 쏘여 주면 무럭무럭 자랄 줄 알았는데, 그게 아니였다. 성장이 눈에 띄지 않아 키우는 재미가 없어지면, 식물은 가지를 잘라 번식에 도전해 보는..
2020.10.06 -
과자봉투 재사용하기
이렇게 지퍼가 달린 봉투들, 그냥 버리기에는 너무 아까운 생각이 든다. 너무 튼튼하다. 어떨 때는 패킹이 달린 밀폐용기보다 더 밀폐력이 뛰어나다는 생각이 든다. 이런 봉투는 일단은 버리지 않고 모아둔다. 그러면 반드시 쓰임새가 생긴다. 내가 터득한 지퍼봉지 또는 과자봉지 활용법 4가지. 첫째, 음식물 쓰레기와 유사한 일반쓰레기를 냉동보관하는 데 쓴다. 우리 집은 2인 가족이라 20리터 쓰레기봉투 교체에 3-4주가 걸린다. 한 달에 한 두 번꼴로 봉지를 교체하는 것이다. 그런데, 한 달동안 이런 음식물이 달라붙어 있는 일반쓰레기를 실온에 두면, 벌레가 꼬이기 시작하고 곰팡이가 피면서 부패하기 시작한다. 자주 배달해 먹는 치킨을 먹고 나오는 뼈라든가, 족발뼈 등 그냥 일반쓰레기 봉지에 버려두면, 베란다는 벌..
2020.10.05 -
우리나라 초콜렛이 맛이 없는 이유, 아직도 모르는 사람이 많다.
어린 아이에게 초콜렛과 사탕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최애 식품이다. 그런데, 우리는 자라는동안 몇 천, 몇 만개의 초콜렛을 맛있게 먹었음에도 불구하고, 성장해서 외국에 나가 그 나라 초코렛을 한 입 먹으면 눈이 2배는 커지는 경험을 누구나 했을 것이다. 외국에서 먹는 초콜렛이 왜 더 맛있지? 단순히 외국이라는 분위기에 취한 것일까? 외제가 최고라는 잘못된 생각을 하는 것일까? 자신을 자책하기도 한다. 그러나 인터넷이 발달해 외국의 정보를 쉽게 손에 넣으면서, 외국산 초콜렛이 국산초콜렛보다 더 맛있다고 느낀 것은, 나의 주관적인 느낌이 아니라, 객관적인 사실이었음이 밝혀졌다. 세계적으로 유명한 허쉬 초콜렛, 유독 한국에서만 다른 재료를 사용해 초코렛을 만들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. 그것은 바로, ..
2020.10.0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