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0. 10. 23. 00:05ㆍ사회복지학/사회복지개론
1. 우리나라 사회복지사 윤리강령
1) 사회복지사의 기본적 윤리 기준
- 전문가로서의 자세 : 품위와 자질 유지, 종료,인성,성,연령,국적 등의 이유로 차별 대우하지 않기. 공정한 업무수행. 어떠한 부당한 압력에도 타협하지 않기
-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
- 경제적 이득에 대한 태도 : 클라이언트의 지불 능력에 상관없이 서비스 제공. 차별대우하지 않기. 공정하고 합리적인 이용료 책정. 경제적 이득을 취득해서는 안 됨.
2)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기준
-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: 클라이언트의 권익옹호를 최우선의 가치로 함. 사행활 존중. 부적절한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됨. 동반자로 인정
- 동료의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: 적절한 논의 없이 동료나 다른 기관의 클라이언트와 전문적 관계를 맺어서는 안 됨.
3) 사회복지사의 동료에 대한 윤리 기준
- 동료 : 존중과 신로로서 대함. 권익증진. 동료의 비윤리적 행위에 대해 제반법률 규정이나 윤리기준에 따라 대처
- 슈퍼바이저 : 슈퍼바이저는 개인적인 이익의 추구를 위해서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서는 안 됨. 사회복지사는 슈퍼바이저의 전문적 지도와 조언을 존중.
4) 사회복지사의 사회에 대한 윤리 기준
- 사회적 약자를 옹화고 대변
- 사회 환경 개선, 사회 정의 증진
5) 사회복지사의 기관에 대한 윤리 기준
- 기관의 부당한 정책이나 요구에 대하여 즉시 사회복지사 윤리위원회에 보고해야 함
- 소속기관 활동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기관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함
6) 사회복지윤리위원회의 구성과 운영
- 한국 사회복지사협회는 사회복지윤리위원회를 구성하여 사회복지 윤리실천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해야 함
- 사회복지윤리위원회는 윤리 강령을 위배하거나 침해하는 행위를 접수받아, 공식적인 절차를 통해 대처
2. 미국 사회복지사협회(NASW) 윤리강령
1) NASW(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) 윤리강령의 구성 : 1.전문 2.윤리강령의 목적 3.윤리원칙 4.윤리기준
2) 6가지 윤리 원칙
- 원칙1. 서비스 : 사회복지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욕구가 있는 사람들을 도우며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
- 원칙2. 사회정의 : 사회복지사는 사회적 불공평에 도전해야 함
- 원칙3. 인간의 존엄성 및 가치 : 사회복지사는 개인의 타고난 존엄성과 가치를 존중해야 함
- 원칙4. 인간관계의 중요성 : 사회복지사는 인간관계의 본질적인 중요성을 인식해야 함
- 원칙5. 성실성 : 사회복지사는 신뢰성을 줄 수 있게 행동해야 함
- 원칙6. 능력 :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능력이 미치는 범위 안에서 실천 활동하며, 자신의 전문 기술을 개발, 향상해야 함
3) 6가지 윤리 기준 : 윤리 기준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활동에 관련된 기준임
(1)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책임 : 클라이언트에 대한 헌신. 클라이언트의 자기 결정 권리를 존중.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동의. 문화적 능력과 사회적 다양성 인식 등.
(2) 동료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책임 : 동료를 존중하는 마음. 비밀 보장. 동료가 관련된 분쟁에서의 조심 등
(3) 실천 현장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책임 : 슈퍼비전과 컨셀테이션. 교육 및 훈련. 클라이언트의 기록 등
(4)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책임 : 능력 유지. 차별 금지. 부정직,사기,기만 등 범죄 행위 금지 등
(5) 사회복지 전문직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책임 : 전문직의 성실성. 평가와 조상 등
(6) 사회 전반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책임을 고려한다 : 사회복지 책임. 대중의 참여 촉진 등
'사회복지학 > 사회복지개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회복지개론 - 윤리적 딜레마와 의사결정 방법 (0) | 2020.10.24 |
---|---|
사회복지개론 - 사회복지 개념, 가치와 윤리 (0) | 2020.10.22 |
사회복지개론 - 생애주기별 욕구 개관 (0) | 2020.10.21 |
사회복지개론 - 욕구의 의의 (0) | 2020.10.20 |
사회복지개론-사회적 위험의 개관 (0) | 2020.10.19 |